새일소식
[보도자료] 새일센터,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전초기지로 자리매김-2021년 전국 158개소에서 64만명 서비스 이용, 18만명 재취업 성공 | |
---|---|
|
|
새일센터,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전초기지로 자리매김 - 2021년 전국 158개소에서 64만명 서비스 이용, 18만명 재취업 성공- □ 2009년 경력단절여성법 제정·시행 이후 새일센터 전국 158개소로 확대 ㅇ ’09년→’21년 새일센터 이용자 13만명→64만명, 취업자 6.8만명→18만명 ㅇ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 ’14년 22.2%→’21년 17.4%, 경력단절 유무에 따른 임금격차 ’13년 66만원→’19년 35.6만원 축소 □ 여성 경제활동 지원 정책, ‘경력단절 후 노동시장 재진입 지원’→‘경력단절 선제적 예방’으로 업그레이드 추진 □ 여성가족부는「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(이하 경력단절여성법)」* 제정(’08년) 13년 만에 전면 개정한 「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법(이하 여성경제활동법)」의 시행(’22.6.8)을 앞두고 그간의 성과를 되짚고, 향후 과제를 모색한다. * (제정배경) 여성의 경력단절을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국가경제적 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,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체계적?종합적 제도적 장치 마련 ㅇ 여성새로일하기센터*(이하 새일센터)는 ‘취업상담-직업훈련-일경험(인턴) 및 취업알선-사후관리-고용유지’ 등 맞춤형 서비스를 한 공간에서 받을 수 있는 통합형(특화형 원스톱)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, - 경력단절여성 등이 장기간 노동시장 이탈(평균 7.8년)로 인한 자신감 저하, 일·가정 양립 문제로 적극적인 구직활동이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해 경단여성의 특성과 눈높이에 맞는 상담기법 등을 적용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.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 |
|
첨부파일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