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앙새일지원센터
사업목적
중앙여성새로일하기지원센터는 (재)한국여성경제진흥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으며, 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경력단절여성등 취업지원 전문기관으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원하고 있습니다.※ 법적근거 : '여성의 경제활동촉진과 경력단절 예방법' 제16조
사업소개
- - 경력단절예방사업 운영센터 지원
- - 경력단절 인식개선 캠페인
- - 새일센터 운영실적 평가
- - 새일센터 고객만족도 조사
- - 새일센터 종사자 교육
- -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
- - 여성경제활동촉진 사업 개발
- - 새일 직업교육훈련 개발 지원
- - 새일센터 컨설팅 및 멘토단 운영
- - 인턴 및 취창업서비스 지원
- - 새일센터 홍보 지원
- - 새일 직업교육훈련 심사 및 관리
- - 새일 e직업교육훈련센터 운영
- 경력단절예방사업
- 1.전국 새일센터의 경력단절예방사업 수행지원
- 2.경력단절예방에 관한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(경단예방의 날 운영)을 실시
- 새일센터 지원 사업
- 1.새일센터 사업별 지원
- 2.새일센터 네트워크 지원
- 3.새일센터 홍보 지원
- 새일센터 평가
- 1.평가방법 : 정량 및 정성평가
- 2.평가영역
센터 유형 | 평가 영역 |
---|---|
일반형 센터 |
- 취창업지원 영역, 서비스제공 영역, 센터 운영 영역 |
농어촌형 센터 | |
경력개발형 센터 |
- 기관의 의지와 역량, 취업성과 영역 |
광역새일 센터 |
- 지역 일자리사업 활성화, 지역 센터 역량강화 영역 |
- 직업교육훈련 심사 및 운영ㆍ관리
- 1.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새일센터에서 운영하는 고부가가치직종 및 일반 직업교육훈련의 심사, 운영 관리
- 2.여성새로일하기센터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 운영
- 새일센터 종사자 교육
- 1.실무기초교육 : 새일센터와 사업의 이해, 경력단절여성 구인구직 역량 강화
- 2.직무향상교육 : 여성주의 상담, 효과적인 구직상담 기법, 사업기획 운영, 홍보 역량 강화 등
Ⅰ.기초역량교육 | Ⅱ.기본역량교육 | |||
---|---|---|---|---|
실무기초교육 | 신규입직자의 새일센터 사업 이해 및 기초직무역량 | 여성 취, 창업지원을 위한 구인, 구직 기본역량 | ||
- 새일 사업의 이해 - e새일시스템의 이해와 활용 |
신규입직자 (3개월 미만) | 구인구직 발굴 및 사후관리 | 1년미만 | |
직무향상교육 | 기본과정(1년 미만) | 심화과정(1년 이상) | 전문과정(2년 이상) | |
Ⅲ.상담역량 교육 | ||||
여성주의 관점 이해 및 여성 구직자 유형ㆍ특성별 상담기법 | 효과적인 구직상담기법 취업지원전략 | 새일 취업상담 전문성 제고 위한 상담 심화 역량 | ||
- 구직상담 기법 - 여성주의 상담 |
- 검사도구를 활용한 직업상담기법 - 새일 취업상담전문가과정(Ⅰ) |
새일 취업상담전문가과정(Ⅱ) | ||
Ⅳ.사업역량 교육 | ||||
사업기획 운영, 역량 및 사업별 필수 직무역량 | ||||
- 사업계획서 작성법 - 새일 홍보 영상 제작법 |
- 온라인 원격훈련 기획과 운영 - 경력단절예방 실무교육 |
- 경력이음 사례관리 실무교육 - 창업상담사 실무교육 |
조직소개
팀 | 담당사업 | 연락처 |
---|---|---|
기획총괄팀 |
- 운영 총괄 - 새일센터 사업별 지원 - 새일센터 홍보 지원 |
02-3486-1175 |
평가관리팀 |
- 새일센터 운영실적 평가 - 새일센터 고객만족도 조사 - 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심사 및 운영관리 -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 운영 및 관리 |
02-3486-1174 |
역량강화팀 |
- 새일센터 종사자 교육 - 새일 포상식 - 우수사례 공모전 |
02-3486-1176 |
경단예방팀 |
- 경력단절예방사업 지원 - 경력단절예방 인식개선 사업 |
02-6954-0989 |
정책개발팀 |
- 직업교육훈련개발 클러스터 운영 지원 - 여성 경제활동 촉진 지원 사업 |
02-6954-7334 |